본문 바로가기

FINANCE SCOPE

구독하기
반도체/관련부품

美 정부, 중국 반도체 3차 제재 곧 시행하나… 140개 기업 압박 예상

숏컷

X

HBM2 등 AI 반도체 메모리도 수출 제한… 삼성전자 영향 예상

미국의 중국 반도체 압박이 거세질 것으로 로이터는 예상하고 있다. 사진=chatgpt


조 바이든 대통령을 주축으로 한 현 미국 행정부가 2일(현지시간) 중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3차 제재를 발표할 것이라는 사실이 외신을 통해 드러났다.

이 같은 사안은 미 정부의 행보에 정통한 소식통의 발언이 인용돼 로이터통신을 통해 보도됐다.

이번 제재 패키지에는 중국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인 나우라 테크놀로지를 포함한 140개 기업에 대한 수출을 제한한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이 밖에도 미국이 이번 제재를 통해 중국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인 파이오테크와 시캐리어 등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이 군사용 인공지능(AI)을 발전시키거나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반도체를 생산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바이든 행정부의 마지막 조치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이번 제재 패키지는 AI 학습과 같은 최첨단 고대역폭메모리(HBM) 칩의 대중국 출하 제한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중국 반도체 기업 24곳과 투자 기업 2곳,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100여곳이 제재 목록에 추가된다.

또한 미국 의회에서는 스웨이슈어와 칭다오시엔, 선전 펀쑨 등 일부 기업이 중국 화웨이와 협력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제 미국 기업들은 제재 대상인 중국 업체에 수출하려면 특별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 라이선스 신청은 거부된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 같은 조치는 미국 반도체 장비 제조 업체인 램리서치나 KLA, 어플라이드뿐 아니라 네덜란드의 ASML 등 미국과 동맹국 기업에 타격이 될 수 있다. 중국 기업을 제재하는 과정에서 미국·네덜란드·대만 기업의 불이익 또한 발생된다는 얘기다.

또, 이번 제재 패키지는 HBM 2 이상에 해당하는 AI 반도체에 쓰이는 메모리 또한 수출을 제한하고 있는 만큼, 로이터는 업계에서 삼성전자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한편 미국이 주도하는 대중국 반도체 제재가 수년동안 이어지면서 중국은 반도체 부문이 자급자족을 위한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다만 아직 AI 반도체 분야에서는 엔비디아와 ASML 등 업계 선도 기업들에 비해 몇 년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자

섹터 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