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요약
📌신규상장 | 24년 7월 3일 코스닥 상장 예정 공모가 16,000원 기관 수요예측 946 대 1 일반청약 경쟁률 2,126 대 1 청약증거금 7조 6,978억 |
📌주주에 관한 사항 | 최대주주 김용수 외 38.32% |
📌영업실적 | 흑자 23년 매출액 160억 / 영업이익 16억 22년 매출액 140억 / 영업이익 28억 |
📌미상환 전환사채 등 보유현황 | 無 |
📌전자공시 | 하스/투자설명서/2024.06.21 |
📌홈페이지 | 하스 |
2. 주요 사업 및 재료
◼ 치아용 보철수복 소재 제조기업 ★
👉 보철수복 치료는 치아가 충치·파손 등으로 외형이 손상되거나 상실된 경우 또는 색상과 외형에 문제가 있는 경우 인공 치아로 대신해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
나노 결정화 공법을 기반으로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화 유리(글래스 세라믹, Glass-ceramics) 제조
하스 보철수복 소재의 핵심은 자연치와 가장 유사하다고 알려진 리튬디실리케이트 글래스 세라믹으로 국내 최초 개발, 글로벌 3위 시장점유율
세계 최초 나노 리튬 디실리케이트 개발
자체 브랜드로 생산하고 있는 Amber, Rosetta 제품 전세계 70여개국에 공급
신성장 사업으로 3D 프린팅용 결정화유리 소재, 치과용 시멘트, 세계 유일 임플란트 크라운용 블록 등 신제품 개발 중
치과용 CAD/CAM 하이브리드 블록 및 항우식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RMGIC) 국산화 국책과제 선정
미국, 중국 종속법인
♣ 주요 제품
Amber Block
Amber Mill, Amber Mill Direct, Amber Mill H
블록상태에서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상 상태로만 출시된 치과 결정화 유리 밀링 블록 제품
Amber Mill Direct
Amber Press, Amber Press Master, Amber LiSi-POZ, Amber LiSi-POM
리튬 디실리케이트 소재로 만들어진 CAD/CAM용 세라믹 블록
Rosetta SM/SP
Rosetta SM
2010년 세계 두번째로 상용화에 성공한 Rosetta SM은 CAD/CAM 블록 제품
열간 가압주조용 잉곳 제품으로서 리튬 디실리케이트 소재 사용 제품
Amber Press, Amber Press Master
가압주조용 치과 도재
Amber LiSi-POZ
가압주조용 제품 중에 프리미엄급 제품인 Amber LiSi-POZ
Zirtooth
지르코니아 수복소재
Amber VEST 매몰제
매몰재인 Amber Vest는 프레싱 잉곳제품과 함꼐 판매하는 제품
유치용 기성형 크라운
♣ 연구개발 완료
물성 및 심미성이 향상된 글래스 세라믹 블록 개발
대면적 가공이 가능한 글래스 세라믹 디스크 개발
세라믹 유치관사출기술 개발
경사적으로 물성 및 심미성이 차이나는 글래스 세라믹 블록 개발
♣ 정부과제
치과 CAD/CAM 장비용 장석질 세라믹블록 국산화 개발
Monolithic Dental Crown용 결정화 유리 개발
CIM process를 이용한 지르코니아 유치관 개발
올세라믹 인공치아 제조용 글래스 분말도재 국산화 개발
결정화 유리와 지르코니아가 융합된 치과용 복합소재 양산화 기술 개발
지르코니아와 전장용 세라믹의 결합력 개선을 위한 고온용 라이너 글라스 개발
제 3세대 비정질 기반 치과 CAD/CAM용 machinable 블록 개발
지르코니아와 레진시멘트의 인장결합강도의 증진을 위한 중간제 개발
치과 임플란트에 체결되는 크라운/상부구조물 일체형 인공치아 소재 개발
세라믹 기반의 유/무기 복합체 개발
정밀 가공성과 고강도를 지닌 SRP/SCRP 임플란트용 심미소재 개발
자연치아 모사 인공생체재료 구현을 위한 치과용 다층구조 하이브리드 세라믹 개발
영구보철용 크라운 제조를 위한 결정화 유리기반 3D프린팅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
결정화 유리를 기반으로 하는 치과용 적층가공 (3D-Printing) 소재 개발
수출확대를 위한 치과용 대면적 직경 98 mm 결정화 유리 차별화 기술 개발
자연치아 모사 인공생체재료 구현을 위한 치과용 다층구조 하이브리드 세라믹 개발
심미 하이브리드 스냅핏 유치 크라운 제조 기술 개발
영구보철용 크라운 제조를 위한 결정화 유리기반 3D프린팅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3단계 기술사업화)
세계 일류 고강도 치과용 CAD/CAM 하이브리드 디스크와 레진시멘트 기술 및 제품 개발 (~2025.12)
바이오필름 부착 억제효과를 가진 치과용 CAD/CAM 블록과 항우식 생체활성 시멘트의 개발 (~2025.12)
♣ 주요 연혁
㈜하스 설립 (인공치아용 세라믹 보철 재료 제조업) (2008)
본사 이전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릉과학산업단지 벤처 2공장 내) (2009)
강릉 본사 신축 이전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과학단지로 77-14) (2014)
미국 판매 법인 설립 (HASS BIO America, Inc) (2015)
지르코니아와 전장용 세라믹의 결합력 개선을 위한 고온용 라이너 글라스 개발 (2016)
유럽 연락사무소 설립 (2016)
제3세대 비정질 기반 치과 CAD/CAM용 Machinable 블록 개발 (2017)
지르코니아와 레진시멘트의 인장결합강도의 증진을 위한 중간제 개발 (2017)
세라믹 기반의 유/무기 복합체 개발 (2018)
미국기공사협회WoW Product 선정 (2020)
중국 판매 업무 총괄을 위한 법인 설립(HASS BIO China, INC) (2020)
수출확대를 위한 치과용 대면적 직경 98mm 결정화 유리 차별화 기술 개발 (2021)
영구보철용 크라운 제조를 위한 결정화 유리기반 3D프린팅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 (2021)
결정화 유리를 기반으로 하는 치과용 적층가공(3D-Printing)소재 개발 (2021)
심미 하이브리드 스냅핏 유치 크라운 제조 기술 개발 (2022)
미국 덴탈 어드바이저 2023 TOP LAB Performer Ceramic Block (Amber Mill, Mill Direct) (2023)
인공생체재료 구현을 위한 치과용 다층구조 하이브리드 세라믹 개발 (2023)
치과용 CAD/CAM 하이브리드 블록 및 항우식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RMGIC) 국산화 국책과제 선정 (2023)
코스닥 상장 (2024)
♣ 타법인출자 현황
[ 종속기업 ]
Hass Bio America, Inc. (지분 100%) - 미국
Hass Bio China, Inc. (지분 100%) - 중국
[ 기타 ]
강원-세종강소기업육성상생투자조합 (지분 3.57%)
마켓프로's 코멘트
👨💻마켓프로's 코멘트 회사 설명에 앞서 시그널리포트 구독 초기 시리언즈 분들이 하는 오해가 있습니다. 주식WHY는 절대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투자 하시는 데 있어서 최대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고 투자 판단에 도움이 되기 시작한 콘텐츠입니다. 그리고 그동안 주식WHY에서 신규 상장주를 많이 다루는데요. 정해진 패턴이 있습니다. 상장 전에 주식을 들고 있거나 공모주를 가지고 계신 분이 아니라면 상장 당일 매매는 지양해야합니다. 본인의 단타 스킬에 자신감을 가지고 계신다면 당일 대응을 말리진 않습니다. 📌하지만 명심하셔야 합니다. 통상 상장 당일은 기업 가치 대비 오버슈팅(천하제일 단타대회)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상장 기업은 미래 가치를 담보하고 있는 곳들이 많은데요. 상장 후 조정 구간을 거쳐서 싸져 있을 때, 오버행을 보고 대응하면 수익을 대부분 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이 기초하기 때문에 거듭 명심하시라고 말씀드립니다. 그동안 내용에 많이 담아 왔지만 앞으로 IPO 기업은 첫 머리 박스에 상기 내용을 적시하겠습니다. |
🎪이번 주식 WHY는 하스입니다.
하스는 2008년 설립된 치과용 수복소재인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화 유리(lithium disilicate glass-ceramics)와 지르코니아(zirconia) 소재를 제조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설명할 내용이 크게 많지 않고 심플합니다. 국내 1위이자 글로벌 3위 리튬 디실리게이트 결정화 유리 제조 기업입니다.
일단 결론만 내면 "공모가는 비싸다(뒤에 설명 예정), 길게 보고 싸지는 구간이 오면 살만한 기업이다."입니다.
본격적인 설명을 하겠습니다.
기억 하실 투자 포인트는 ▲세계 최초 나노 리튬 디실리케이트 개발 ▲전세계 70여개국 공급 ▲신성장 사업으로 3D 프린팅용 결정화유리 소재, 치과용 시멘트, 세계 유일 임플란트 크라운용 블록 등 신제품 개발 중 ▲하스 보철수복 소재의 핵심은 자연치와 가장 유사하다고 알려진 리튬디실리케이트 글래스 세라믹으로 국내 최초 개발, 글로벌 3위 시장점유율 ▲치과용 CAD/CAM 하이브리드 블록 및 항우식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RMGIC) 국산화 국책과제 선정 ▲미국과 중국 종속 법인의 성장(수출) 등입니다.
여기서 기억해야할 것은 보철수복 치료입니다. 다들 치과 치료는 해보셨죠? 보철수복 치료는 치아가 충치·파손 등으로 외형이 손상되거나 상실된 경우 또는 색상과 외형에 문제가 있는 경우 인공 치아로 대신해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스는 자체 브랜드로 생산하고 있는 Amber, Rosetta 제품을 전세계 70여개국에 공급 중입니다. 사업 확장을 위한 신성장 사업으로 3D 프린팅 레진의 개발 및 금속복합 3D 프린팅, 결정화 유리 3D 프린팅을 개발 진행 중입니다. 투자 포인트 중 하나가 보철 수복 소재의 3D 프린팅이라고 보면 쉽게 이해하실 듯합니다.
특히 소수기업만이 시장 진입에 성공한 가운데, 하스는 글로벌 70여 국가에 수출을 확대(유럽 25.2%, 남미 31.7%, 북미 11.5%)하고 있다네요.
성장 전략은 대륙별 중대형 유통사를 추가 확보하고 아직 진출하지 못한 국가를 개척하는 것이라고 하네요. 공략하려는 대표 국가는 독일, 프랑스, 튀르키에(터키), 사우디, UAE, 중국, 일본, 싱가폴, 미국, 캐나다, 브라질, 콜롬비아 등이라고 하네요.
주요 거점은 유럽 연락사무소(독일, 2016년 8월 설립), 중국 법인(상하이, 2020년 7월 설립), 미국 법인(CA, 2015년 9월 설립)입니다.
사업 전략은 글로벌 탑티어 치과 장비 제조사와 전략적 협업을 하는 것입니다. 락인 효과를 노리는 것이죠.
제 전문 분야가 아니라 명확히 솔루션이나 결론을 내긴 어려울 듯합니다. 다만 좋은 기업이고 성장 과정을 보면서 주가가 기업 가치 대비 저평가 영역으로 오는 흐름을 보면서 주식을 담아볼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치과 치료는 무엇보다 인류에게 벗어날 수 없는 필수적인 이슈입니다. 다만 제 기준으로 경제적인 호황이 와야 활성화되리라고 보고요. 기업의 실적이 올라오는 흐름에 따라 주가는 우상향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다만 기업의 실적이 작고, 기관이 당장 접근하기 어려운 시가총액인 만큼 시가총액 2000억원 이상으로 올라가는 과정이 확실히 보이지 않는다면 주가는 박스권에서 지지부진할 가능성이 엿보입니다.
증권가 애널리스트 리포트 기준으로 커버하는 곳도 1곳(유진투자증권) 뿐입니다. 시장의 관심을 끄기엔 실적도 시가총액도 작다는 것에 큰 무게감을 느낍니다.
본문
~공모가 비싸게 느껴진다. 주가가 싸지는 타이밍이 나와야~
공모가 이야길 해보겠습니다. 공모희망가 밴드는 9000 ~ 1만2000원이었습니다. 이는 2023년 온기 실적 기준, 국내 유사기업(덴티움, 덴치스, 바텍, 메타바이오메드)의 평균 PER 18.0배를 하스의 2026년 예상실적(연 할인률 20%)에 적용해 산출한 주당 평가가액 1만3594원 대비 11.7 ~ 33.8% 할인해 산정(증권신고서 기준)했습니다. 공모 확정가는 1만6000원입니다. 글로벌 기업이라는 이미지가 공모가를 상당히 들어 올렸다고 보고요.
제 기준으로 냉정히 말씀드리면 공모가가 거품이 심하다입니다. 시간이 지나고 저평가 되는 구간이 나오겠지만 투자 관점에서 보면 상장 초기 가격이 아주 싸지지 않는 이상 투자 관점에선 보지 말자입니다.
오버행은 거의 없네요. 상장 후 1개월 뒤 28만7993주(3.68%), 3개월 뒤 5만4300주(0.69%) 정도가 락업에서 풀립니다. 우호주주(22.66%)가 3년 락업을 한 만큼 어떻게 보면 자신감으로 보이는데요. 당장 투자자금이 부족해서 IPO했다는 감이 있습니다. 공모로 들어오는 자금은 대략 284억원이네요. 애초 계획된 자금(약 161억원)보다 대박을 친거죠. 시설자금 135억원, 운영자금 74억원, 채무상환 45억원, 기타 30억원이네요.
~하스에 관심이 있다면 아래 부분은 필독...아니면 패스~
아래 부분은 읽으셔도 좋고 패스하셔도 좋습니다. 회사의 디테일을 이해하기 위해 회사 사업보고서 등을 인용해서 끌어 왔습니다. 그리고 챗GPT의 힘을 빌어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화 유리 소재 시장 조사 내용을 정리해서 드리겠습니다.
하스는 설립 이후 리튬실리케이트 결정화 유리 소재 미세구조 제어기술, 유리, 세라믹스 정밀 성형기술, 이종간 소재 및 무기필러 하이브리드(hybrid)화 기술의 원천기술을 구현했고, 이를 통해 국내 최초로 리튬 실리케이트(lithium silicate)계 결정화 유리를 이용한 치과용 보철 수복물 소재 개발과 양산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열처리 조건에 따라 투광성이 조절되는 치과용 보철물 소재 개발·양산, 무기분말 필러 유무기복합체 소재 개발·양산 등을 진행했죠. 현재는 생체재료와 관련된 치과용 보철 소재, 치과 치료용 의료장비 등의 개발 및 양산을 진행 중입니다.
치과 치료 소재 기업은 오스템임플란트, 덴티움 등의 사례처럼 성장에 있어서 시간의 필요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스위스 스트라움, 스위스 노벨 바이오케어, 미국 덴스플라이 시로나 등 글로벌 기업 일색이었던 임플란트 시장은 한국의 오스템임플란트의 진입을 쉽게 내주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오랜 시간 제품의 검증과 마케팅을 통해 오스템 임플란트는 글로벌 시장에서 아시아를 중심으로 전체 약 5-10% 가량의 시장을 차지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닌다.
하스의 케이스는 글로벌 빅3 중 3위라는 지위를 가지고 있는데요.
하스에 따르면 현재 상용화 되는 제품군에 있어서 동종 경쟁업체들에 비해 다양한 적응증(indications)과 유저 편의성에 맞춰 다각화된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고, 치아 적응증과 사용자 편의성을 염두에 둔 신제품 개발로 그 기술 격차와 상품의 경쟁력을 더 강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하스가 나노 크기의 리튬디실리케이트 결정화 유리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고강도 심미소재인 Amber mill은 자연치아와 유사한 심미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제품이라네요. 우수한 유백성과 형광성은 색올림(staining) 없이 글래이징(glazing, 덧칠? 끼움?)만으로도 치경부부터 절단면/교합면까지 자연스러운 컬러 스펙트럼을 연출하며, 우수한 물성을 보유하고 있어 전세계적으로 소비자층이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최근에는 경사구배 결정화 공법(gradient lithium disilicate, GLD공법)을 통해 예비결정화가 완료된 ‘Amber Mill Direct’ 제품 개발에 성공했다네요.
Amber Mill Direct는 기존 리튬디실리케이트 결정화 유리 제품이 구현할 수 없었던 치아의 치역부와 절단연의 색상과 투광성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는 제품이라고 합니다. 자연치아와 유사한 유백성, 형광성을 나타내어 심미성이 중요한 전치부에도 사용가능한 제품입니다.
또한 해당 제품은 사용자가 추가적인 열처리를 할 필요가 없이 치아와 유사한 최종 쉐이드가 구현되어 있는 제품이라네요. 최종 수복물 제작시 전체 제작시간의 약 50%를 차지하는 열처리 시간을 단축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개선과 당일 진료 후 당일 수복소재 시술까지 가능하게 하는 제품으로 성장성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생산 공장 건설 스케줄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스는 2008년 설립 이후 2014년 11월 강릉 제1공장을 준공해 치과용 보철 재료에 대해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했습니다. 2017년 강릉 제1공장 증축, 2021년도 12월 강릉 제2공장 준공으로 지속적인 생산시설 및 인력 확충으로 원료 혼합부터 포장까지 전체 공정을 자체적으로 생산 중입니다.
하스의 생산구조는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과용 보철 재료를 생산하고 있고, 주문(MTO)+계획(MTS) 혼합구조의 생산관리를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공정 별 자주 검사 및 주요 공정의 품질 팀 제품 검사 등 최고 수준의 품질과 전문화된 생산시스템을 보유 및 개선하고 있습니다.
생산량 증대와 미래 신제품 생산기지 확보를 위해 지난 2023년 6월 제 3공장 부지 및 건물을 매입했으며, 2024년 계획하고 있는 건물 리모델링을 통해 결정화 유리 및 유기물 기반 개발 기술의 우위와 생산능력 증대 및 생산성 향상 기반을 확보했다네요.
생산 능력 관련 포인트입니다. 하스는 이번 IPO를 통해 3공장 설비 도입과 인력 확충을 통해 2026년까지 5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목표로 한다네요.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화 유리와 글로벌 기업 누구?~
이제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화 유리 관련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화 유리(Lithium Disilicate Crystallized Glass)는 주로 치과용 수복재료로 사용됩니다. 이 소재는 강도와 미적 특성이 뛰어나며, 주로 치과 크라운, 브리지, 인레이 및 온레이 제작에 사용됩니다.
무엇보다 리튬 디실리케이트는 다른 세라믹 재료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어 치아의 수복 시 안정성이 뛰어납니다. 주요 용도는 치과 크라운, 브리지, 인레이, 온레이, 라미네이트 베니어입니다.
주요 기업과 시장 점유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1위는 Ivoclar Vivadent입니다. 제품은 IPS e.max입니다. 시장 점유율은 60% 안팎을 추정한다네요. Ivoclar Vivadent는 리튬 디실리케이트 기반 치과용 소재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IPS e.max 시리즈는 높은 품질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많은 치과 전문의들에게 선택받고 있습니다.
2위는 Dentsply Sirona입니다. 제품은 Celtra Duo라고 합니다. 시장 점유율은 약 20%입니다. Dentsply Sirona는 Celtra Duo 제품으로 리튬 디실리케이트 결정화 유리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강도와 투명도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그리고 하스가 2018년 2%에서 2023년 5%까지 상승해 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과거 3위권 기업들이 경쟁을 하는 구도였으나 하스가 3위를 굳히고 나머지 기업들이 4위권에서 경쟁을 하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관련기사
📰 하스, 공모가 상단 초과 1만6000원 확정…경쟁률 946대 1 (2024.6.21)
글로벌 3위 수준의 치아용 보철수복 소재 제조 기업인 하스가 공모가를 1만6000원으로 확정했다.
하스는 2008년 설립한 치아용 보철수복 소재 제조 전문 기업이다.
보철수복 치료는 치아가 충치·파손 등으로 외형이 손상되거나 상실된 경우 또는 색상과 외형에 문제가 있는 경우 인공 치아로 대신해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말한다.
하스 보철수복 소재의 핵심은 자연치와 가장 유사하다고 알려진 리튬디실리케이트 글라스 세라믹이다.
세계에서 두 번째, 국내에서는 첫 번째로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했다.
📰 인공치아 소재 세계 3위…하스, 24일부터 일반청약 (2024.6.23)
하스는 자연치아와 가장 비슷한 소재인 ‘리튬 디실리케이트 글라스 세라믹’으로 제품을 만든다. 이 분야 글로벌 시장 점유율 3위다.
📰 '치과용 보철수복 소재 기업' 하스, 6월 코스닥 상장 (2024.4.22)
하스는 자체 개발한 치과용 보철 소재 등을 70여개국 133개 유통사에 공급하고 있으며, 해외 매출 비중은 92%에 달한다.
특히 자연치아와 유사하다고 평가받는 리튬디실리케이트 글라스 세라믹 치과 소재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하스의 나노 리튬디실리케이트 기술은 유리 결정 구조를 제어해 투명도, 채도, 경사 등을 조절하는 미세 구조 기술이다. 이를 바탕으로 심미성과 강도, 경제성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치과 보철수복 소재를 제조하고 있다.
또한 대량 생산용 대면적 디스크, 일체형 임플란트 블록, 디지털 제작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했다.
하스는 지난해 매출액 160억원, 영업이익 1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약 10%로 전년 대비 9.4%포인트(P) 감소했다. 하스는 올해 예상 실적으로 매출액 261억원(전년 대비 +63.13%), 영업이익 57억원(전년 대비 +256.25%)을 전망하고 있다.
📰 하스 "자연 치아 유사 소재로 글로벌 도약할 것" (2024.6.20)
회사의 주력 제품은 ‘리튬 디실리케이트 글라스 세라믹’이며, 이는 △크라운 △인레이 △온레이 △라미네이트 △브릿지 등을 만들 때 사용된다.
리튬 디실리케이트 시장은 2022년 3189억원에서 2029년 9668억원이 예상되는 등 연평균 약 17.2%의 성장이 전망되는 분야다.
현재 하스는 1위 ivoclar(약 60%), 2위는 dentsply sirona(20%) 뒤를 이어 3위(5%)에 해당한다.
따라서 회사는 수익성 향상을 위해 나노 결정화 및 경사기능 결정화 기술을 개발해 제작 시간을 단축시켰으며, 디지털 방식의 CAD/CAM용 제품, 아날로그 방식의 프레스용 제품, 대량 자동화를 위한 대면적 디스크 제품, 임플란트 크라운용 제품 등 다수의 제품 라인업을 구축했다.
133개 파트너사를 통해 7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는데, 북미와 유럽, 아시아 등 대륙별 중대형 유통사를 추가로 확보하고 미진출 국가도 개척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제2공장 부지 인근에 제3공장을 증설할 것이며, 3D 프린팅용 결정화유리 소재, 치과용 시멘트, 임플란트 크라운용 블록 등 신제품 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 하스 치아와 가장 유사한 소재로 경쟁력 확보...2026년 470억원 매출 목표 (2024.6.19)
"치아를 보면 잇몸쪽은 불투명하지만 끝단으로 내려올수록 점점 투명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스의 제품은 이를 그대로 모사할 수 있습니다. 이런 컨셉의 제품은 하스가 최초고 시장에 나와있는 유일한 제품입니다"
하스의 가장 큰 경쟁력은 타사 대비 가장 자연치아 가장 유사하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하스는 세계 최초로 나노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개발해 자연치아와 가장 유사한 소재 구현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경사기능 결정화 기술을 사용해 하나의 치아에 부위별로 투명도와 강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도 있다. 김 대표는 "하스가 세계 최초로 이를 상용화 했으며, 아직까지도 유일한 제품"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경쟁력을 기반으로 하스는 133개 파트너사를 통해 70여 개국에 수출하는 등 다각적인 글로벌 영업망 구축에 성공했다. 2023년 하스의 매출은 약 160억원으로, 2020년 매출(약 70억) 두배 이상의 성장을 이뤄냈다.
📰하스 “코스닥 상장으로 전세계 탑티어 치아 소재기업 도약” (2024.6.19)
하스는 나노 결정화 기술(NLD, 소재 결정 크기와 구조를 미세화하는 기술)과 경사기능 결정화 기술(GLD, 부위별 결정 구조를 달리해 투명도와 강도를 조절하는 기술)을 차별적 경쟁력으로 보고 있다.
김 대표는 “종래 기술에 비해 결정 사이즈를 100분의 1로 줄여 심미성을 개선하고 제작 시간을 단축시켰다”고 전했다.
하스는 이번 공모 자금을 신규 사업 확대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 대표는 “3년 전부터 국내 프린팅 장비 업체와 협력해 개발하고 있는 결정화 유리 소재가 상용화하면 혁신적 변화가 예상된다”며 “방오성(충치균 침착을 막는 성질) 기능을 탑재한 치과용 시멘트, 지대주와 크라운을 일체화한 임플란트 블록도 개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하스-연세대 치대 최성환 교수팀, KMDF 국책과제 선정 (2023.6.14)
리튬 디실리케이트 기반의 치과용 유리를 개발·상용화한 치아 보철 수복 소재 전문기업 하스(대표 김용수)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최성환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개발 프로젝트가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KMDF)의 ‘우수성과 연계 후속지원 조기성과창출형 국책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에 따라 하스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최성환, 권재성, 김도현 교수팀은 KMDF로부터 약 21억여 원의 정부 지원금을 지원 받게 됐다.
하스-연세대 공동 연구팀은 ‘치과용 CAD/CAM 하이브리드 블록 및 항우식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RMGIC)’의 국산화를 목표로 연구개발과 제품화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증권사리포트
📑하스 - 글로벌 치아용 보철수복 소재 제조기업 (24.6.13 / 유진투자증권)

재무
1. 재무추이

2. 미상환 전환사채 등 발행현황
3. 유통물량
◼ [하스-주주구성]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전자공시
1. 전자공시
◼ 하스/투자설명서/2024.06.21
2.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 현황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3.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4. 주요계약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5. 연구개발 완료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6. 정부과제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7. 주요 연혁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8. 종속기업 현황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9. 타법인출자 현황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홈페이지
◼ HASSBIO | 하스
주요 연혁
📌중요 안내사항 1. 본 자료는 투자자의 주식투자를 돕기 위해 작성된 참고 자료입니다. 콘텐츠 제공업체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 당사는 유사투자자문업자로서 자본시장법에 따라 본 콘텐츠에 대한 댓글로 의견을 교환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구독자 여러분의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3. 본 채널에서 발행한 모든 콘텐츠는 1개월 경과 후 구독상품에서 제외됩니다. 단, 시그널 다이제스트/시그널 이브닝/장 전 뉴스 check의 경우 1주일 경과 후 구독상품에서 제외됩니다. |
주식WHY는 하나의 종목에 대한 모든 것을 파보는 코너입니다. 기업정보, 지분현황, 차트, 재료, 재무 등 다양한 정보를 하나의 콘텐츠로 묶어 냅니다. 이렇게 정돈된 데이터는 '지식'이 되는 거고요. 시장에서 이 '지식'과 맞는 '시그널'이 발생했을 경우 바로 '대응' 가능하게 되는 거죠. 대한민국에 상장된 2300여개 모든 종목을 하나씩 콘텐츠로 소개 드릴 예정입니다.